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영어공부/영어 문법123

부사절 접속사(시간,이유,조건,양보,목적,결과)총정리 - 부사절 종속 접속사 오늘은 부사절 접속사에 대해 총정리를 해보겠습니다. 부사절 접속사를 사용함으로써 시간, 이유, 조건, 양보, 목적, 결과를 나타낼 수 있는데요, 문장 내에서 주어 역할, 목적어 역할, 보어 역할을 하는 명사절 접속사와 차이점이 있습니다. 명사절 접속사와 부사절 접속사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또한 부사절 접속사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다양한 예문을 통해 공부해 보도록 합시다. 부사절 접속사의 총정리인 만큼 부사절 접속사의 종류가 많아도 끝까지 집중해서 공부하도록 합시다! 부사절 접속사 / 부사절 종속 접속사란 시간, 이유, 조건, 양보, 목적이나 결과를 나타내는 부사절을 이끕니다. 부사절은 문장 내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부사절 접속사 1.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의 종류 부사.. 2022. 4. 2.
전치사 관용표현 : 형용사 + 전치사, 영어 독해가 쉬워지는 표현 오늘은 형용사와 전치사로 이루어진 전치사 관용표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런 관용표현 들은 알아 두면 영어 독해가 정말 쉬워질 수 있습니다. 영어를 막 공부하기 시작한 분, 기본적인 영어 문장 해석이 안 되는 분들은 오늘 저의 포스팅을 꼼꼼히 보는 걸 추천합니다. 아래 문장에서 형용사는 'proud : 자랑스러운', 전치사는 'of : ~의'입니다. · I am proud of my father. 어떤 의미의 문장일까요? 위의 문장에서 단어를 하나하나를 쪼개서 해석해 버리면 '나는 /이다 / 자랑스러운 / ~의 / 나의 아빠' 나는 아빠의 자랑이라는 거야? 아빠가 나를 자랑스러워한다는 거야? 문장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 I am proud of my father. - 나는 우리 아빠를 .. 2022. 3. 29.
조동사 would 관용 표현 총정리 - would like to, would rather 오늘은 조동사 관용 표현 중에서 would가 들어간 표현을 다양한 예문을 통해 총정리해보겠습니다. would를 조동사 will의 과거형이다 라고만 알고 있는 분들은 오늘 포스팅을 집중해서 공부하시길 바랍니다 :) would like + 명사 would like to + 동사원형 would rather + 동사원형 than 동사원형 위의 순서대로 천천히 의미를 파악해 볼까요? (의미만 후다닥 알고 싶은 분들은 포스팅 맨 하단으로 가면 됩니다.) 조동사 would 관용 표현 총정리 1. would like + 명사: ~을 원하다 · would like + 명사 : ~을 원하다. like 뒤에는 바로 명사가 와야 함을 기억해 주세요. 부정형 : would not like + 명사 = wouldn't like .. 2022. 3. 28.
기초 영어 회화 This is a little 형용사 - 패턴 활용하기 오늘의 기초 영어 회화로 조금 쉬운 표현을 갖고 와봤어요. 바로 'This is a little + 형용사' 의 패턴을 활용하여 간단하지만 일상생활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영어 회화 표현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This is a little + 형용사 : 이건 좀 ~해. / 이건 좀 ~하네. 친구와 함께 식당에서 밥을 먹는 상상을 해봅시다. 앗! 그런데 이렇게 말하네요. This is a little spicy. - 이건 좀 맵네. This is a little salty. - 이건 좀 짜네. 일상회화 표현으로 정말 간단하면서도 많이 사용할 수 있는 표현이겠죠? 영어로 맛 표현 하기 mouthwatering, luscious, succulent 예문 우리가 흔히 맛있다 -라고 영어로 표현할 때 주로 yu.. 2022. 3. 26.
조동사 should, ought to, had better의 공통점과 차이점 영어에는 여러 가지 조동사가 있지만 오늘은 충고나 의무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조동사 - should, ought to, had better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세 가지 조동사가 모두 충고를 나타내는 공통점이 있지만 사실 미묘한 차이가 있습니다.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should와 ought to는 의무, 당위적인 충고를 나타내며, had better는 강한 권고의 의미에 가까운 충고를 나타냅니다. 아래 이미지에서 나타내는 강도정도의 차이라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오늘은 먼저 should, ought, had better 조동사만 정리해 볼게요. 아래 예문들을 꼼꼼하게 살펴보면서 세 가지 조동사에 대한 차이점을 느껴 봅시다. 조동사 - should, ought to, had bet.. 2022. 3. 25.
used to 언제 쓰나요? 조동사 used to 의미, used to 표현 총정리 used to 언제 쓰나요? 조동사 used to 의미, used to 표현 총정리!! 오늘은 used to에 대해서 알아볼 텐데요, used to가 조동사라는 사실 알고 있었나요? used to는 조동사로서 과거의 습관을 나타내거나 과거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아래 문장 해석해 봅시다. · There used to be a big tree here. 아래 예문들을 통해 조동사 used to를 공부하면 'There used to be a big tree here.' 해석이 가능해 질 겁니다. 정답은 포스팅 내용에 숨어 있습니다 :) 조동사 used to는 언제 사용할까요? 1. 조동사 used to의 사용 : 과거에 계속된 상태나 반복되었던 동작, 습관을 나타낼 때 씁니다. use to의 사용 해.. 2022. 3. 25.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