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사절 접속사(시간,이유,조건,양보,목적,결과)총정리 - 부사절 종속 접속사
오늘은 부사절 접속사에 대해 총정리를 해보겠습니다. 부사절 접속사를 사용함으로써 시간, 이유, 조건, 양보, 목적, 결과를 나타낼 수 있는데요, 문장 내에서 주어 역할, 목적어 역할, 보어 역할을 하는 명사절 접속사와 차이점이 있습니다. 명사절 접속사와 부사절 접속사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또한 부사절 접속사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다양한 예문을 통해 공부해 보도록 합시다. 부사절 접속사의 총정리인 만큼 부사절 접속사의 종류가 많아도 끝까지 집중해서 공부하도록 합시다! 부사절 접속사 / 부사절 종속 접속사란 시간, 이유, 조건, 양보, 목적이나 결과를 나타내는 부사절을 이끕니다. 부사절은 문장 내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부사절 접속사 1.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의 종류 부사..
2022. 4. 2.
조동사 should, ought to, had better의 공통점과 차이점
영어에는 여러 가지 조동사가 있지만 오늘은 충고나 의무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조동사 - should, ought to, had better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세 가지 조동사가 모두 충고를 나타내는 공통점이 있지만 사실 미묘한 차이가 있습니다.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should와 ought to는 의무, 당위적인 충고를 나타내며, had better는 강한 권고의 의미에 가까운 충고를 나타냅니다. 아래 이미지에서 나타내는 강도정도의 차이라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오늘은 먼저 should, ought, had better 조동사만 정리해 볼게요. 아래 예문들을 꼼꼼하게 살펴보면서 세 가지 조동사에 대한 차이점을 느껴 봅시다. 조동사 - should, ought to, had bet..
2022. 3. 25.